티스토리 뷰
반응형
런던 중심의 금값 결정 시스템이 100년 만에 거대한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런던과 뉴욕에서 결정하던 국제 금값이 이제는 러시아와 브릭스, 그리고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고 있습니다. 투자자라면 이번 글로벌 '금값 흐름' 재편을 꼭 이해하셔야 하겠습니다!
- 1920~2020, 런던이 만든 세계 표준: 런던 금시장(LBM)은 1919년부터 세계 금값의 중심 역할을 해왔습니다. 매일 대형 은행들이 모여 시세를 결정하는 이 구조는 최근까지 유지됐고, 금값이 오르면 달러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는 이유로 다양한 조작 논란이 있었습니다.
- 가격 조작과 JP모건 사건: 2020년 JP모건, 뉴욕, 런던 본사 트레이더들이 허위 주문 등 선물 조작으로 약 1조 원 벌금형에 처해진 사건은 금값 조작의 실체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 런던 골드풀과 FED(연준) 발언: 1960년대 미국은 금값 상승을 막기 위해 유럽 7개국과 '런던 골드풀'을 만들었고, 연준 의장까지 공식적으로 금값 통제 의사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금 거래소' 개설: 2025년 러시아가 자체 금 거래소를 통해 금값을 직접 책정하기 시작하면서, 글로벌 금시장 '탈런던'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 브릭스의 힘, 시장 다극화: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공(BRICS)이 금·원유 등 자원 거래를 자국 통화, 자체 거래소 중심으로 빠르게 확대 중입니다.
- 상하이 프리미엄: 중국 상하이 금거래소는 2002년부터 자국 시세를 따르고, 최근 상하이 시세가 국제 표준보다 온스당 120~130달러 이상 높았던 적도 있습니다.
'상하이 프리미엄'과 러시아 거래소의 등장은 앞으로 금값이 전통적 서방 세력만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실물 수요와 공급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 차익거래 활성화: 각국 금값 차이(예: 미국-중국, 런던-상하이)가 커지면, 트레이더와 금융사들은 싼 곳에서 사서 비싼 곳에 파는 '차익거래'로 시장가격을 맞춥니다. 최근 중국 선물가격이 현물보다 높자 사상 최대 재고가 쌓였다는 뉴스도 있었습니다.
- 금값에 직접적 압력: 이런 차익거래 구조 덕분에 과거처럼 소수 권력층이나 금융사들이 인위적으로 금값을 누르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 1971년 닉슨 쇼크와 1980년 폭등: 미 달러와 금 교환을 중단하며 금값은 35달러에서 1,000달러까지, 10년 만에 약 25~30배 올랐던 충격이 있었습니다.
- 2025년, 투자 접근성 사상 최고: 과거엔 소수만 하던 금투자, 지금은 스마트폰·ETF·장외 소액매매·실물 배송까지 누구나 가능합니다. 올해만 국내 장내 금거래 계좌가 145만 개, 거래량도 역대 최대를 기록했을 정도입니다.
연도 | 사건/특징 |
---|---|
1919 | 런던 금시장 공식 시작 |
1961 | 런던 골드풀 출범(미국·유럽, 금값 방어) |
1971 | 닉슨 쇼크, 금-달러 분리 |
2002 | 상하이 금거래소 설립 |
2020 | JP모건 등 대형 금값 조작, 벌금 부과 |
2025 | 러시아 금 거래소, 브릭스 금시장 부상 |
- 미국, 유럽 등 전통적 금값 통제력 약화 — 러시아·브릭스 거래소가 시장 표준에 영향
- 개인투자가, 새로운 금값 변동 핵심 변수 — KRX 금시장 등 접근성 급상승
- 차익거래, 실시간 금값 변동성 — 과거보다 가격 불안정, 상승·폭락 모두 가능
- 공급·수요 실물 위주 재편 — 금융상품 중심에서 점차 실물 인도, 현물 거래 비중 증가
100년 금 시장의 질서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통화 패권이나 소수 금융 강국의 금값 통제력은 약해지고, 각국의 실수요·공급과 투자자들의 빠른 반응이 더 중요해지는 시대입니다.
예전엔 상상 못 한 폭락·급등도 언제든 현실이 될 수 있으니, 금 투자 흐름의 본질을 꼭 파악하시고 현명한 투자 전략 세우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저소득층지원
- 정부복지
- 소비쿠폰
- 재난지원금
- 고속도로 교통법규
- 워터파크
- 태풍경로
- 긴급복지
- 노인복지정책
- 기초생활수급자
- 소상공인정부지원
- 임플란트보험
- 긴급복지지원
- 한무모가정
- 탈모샴푸
- 양육비
- 기초연금
- 소상공인 지원금
- 정부지원금
- 소상공인
- 부담경감크레딧
- 가왕
- 서울 공공임대주택
- 기초수급자
- 자동차관세
- 에너지바우처
- Ai
- 양육비미지급
- 러닝자세
- 채무조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