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여름, 전기요금 누진구간 한시적 완화! 절약 혜택과 추가 지원까지 한눈에
폭염·부담줄이기 위한 2025 한시 완화, 이렇게 달라집니다
2025년 7월과 8월, 한전과 정부는 폭염으로 급증하는 냉방수요에 대응해 누진제 구간을 한시적으로 완화합니다. 구간 조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총조사에 따르면, 국내 4인 가구의 7~8월 월평균 전력사용량은 406kWh입니다. 누진구간 완화 덕분에 4인 가구는 최대 월 2만원가량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즉, 300kWh 이하까지 1단계 저렴한 요금이 적용되고, 406kWh 사용 시에도 더 오랜 기간 낮은 요금이 부과돼 냉방비 부담이 대폭 경감됩니다.
구간 | 종전 기준 | 2025년 한시 완화 기준 | 요금(기본요금) |
---|---|---|---|
1단계 | 0~200kWh | 0~300kWh | kWh당 120원(910원) |
2단계 | 201~400kWh | 301~450kWh | kWh당 214.6원(1,600원) |
3단계 | 401kWh~ | 451kWh~ | kWh당 307.3원(7,300원) |
적용대상, 절차, 효과 요약
- 적용 기간: 2025년 7월 1일~8월 31일 (전국 모든 주택용 가구 자동적용)
- 신청 필요 없음, 한전 자동 적용
- 냉방 사용량이 많은 가구일수록 절감 효과 큼
- 3단계 진입 유예로, 요금 폭탄 걱정 없이 에어컨 등 냉방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9월부터는 원래 구간으로 복귀되므로 여름철 계획적 소비가 중요합니다.
취약계층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추가 혜택
- 에너지바우처(4인 기준 최대 70만원 지원)
정부는 저소득 또는 취약계층이 무더위 속에서도 부담없이 에너지(전기·도시가스·난방 등)를 이용하도록 에너지바우처를 제공합니다.- 신청기간: 2025년 6월 9일 ~ 12월 31일
- 사용기간: 2025년 7월 1일 ~ 2026년 5월 25일
- 신청대상: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노인, 장애인, 영유아, 임산부, 한부모가족 등 특정 조건 해당가구
- 신청 방법: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전기요금 감면(한도 최대 2만원까지 확대)
취약계층, 국가유공자, 대가족, 장애인가구 등은 원래 월 8,000원~16,000원 수준이었던 감면 한도를 한시적으로 최대 2만원까지 올려주는 정책이 시행됩니다.- 사용기간: 2025년 6월 1일 ~ 8월 31일(요금 청구시 일할 계산)
- 신청방법: 한전ON 홈페이지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에너지바우처와 감면 지원은 모두 별도 신청이 필요하며, 세부 조건은 해당 공공기관 공식 안내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기요금 절약 팁과 실전 활용법
- 실시간 누진구간 체크: 스마트 플러그, 한전 앱, 전기요금 계산기 적극 활용
- 에너지 캐시백 추가: 전년보다 전력 절감하면 현금 환급, 간단한 온라인 신청으로 절감 효과를 더할 수 있습니다
- 에어컨을 희망온도(26~27도)에 맞추고, 문·창문 틈새 막아주기, 대기전력 차단 등 기본 절약습관 병행
- 가전제품은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분산 사용, 필요시 선풍기와 병행해 냉방 효율을 올려 보시기 바랍니다
요약정리 - 여름철 전기요금, 똑똑하게 절약하세요!
- 2025년 7~8월 전기요금 누진구간 한시 완화로 가구당 월 최대 2만원 절감 가능
- 취약계층은 70만원 에너지바우처·2만원 감면 한도까지 추가 지원
- 별도 신청 없는 일반 가구, 감면·바우처는 반드시 신청 필요
- 스마트 플러그, 한전 앱 등으로 실시간 사용량·절약 구간 관리
- 9월 이후 구간 복귀, 여름철 사용량 계획 필수
* 본문은 2025년 7월 기준 정부, 한전, 에너지경제연구원, 복지부 등 공식 보도자료와 현장기사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지원정책·감면제도 세부사항은 한전, 에너지바우처센터, 복지로 및 공식 홈페이지에서 꼭 확인 바랍니다.
* 지원정책·감면제도 세부사항은 한전, 에너지바우처센터, 복지로 및 공식 홈페이지에서 꼭 확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