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케이패스 교통카드는 체크카드 등록부터 환급절차까지 간편한 이용 방법과 다양한 지역별 혜택을 제공합니다. 본 포스팅은 케이패스 환급제도, 발급·이용방법, 환급률과 지역별 추가 혜택을 자세히 안내합니다.
케이패스 카드 환급제도
케이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최대 60회까지 환급이 가능한 교통 카드 환급제도입니다. 환급금은 카드 이용액 중 일정 비율로, 청년·저소득층·다자녀 가구 등 우대 대상에 따라 환급률이 차등 적용됩니다.
신청대상
- 만 19세 이상 국민 누구나 신청 가능
- 청년 (만 19~34세) : 30% 환급
-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최대 53% 환급
- 다자녀 가구 : 2자녀 30%, 3자녀 이상 50% 환급
케이패스 카드 발급방법
- 주요 카드사(신한, 국민, 농협, 현대, 삼성 등)에서 K패스 카드 발급 가능
- K패스 누리집 또는 앱에서 회원 가입 및 카드 등록 절차 진행
-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별도 발급 없이 기존 카드로 환급 혜택 수령 가능
주의사항: 환급 포인트는 지급일 기준 5년 내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시 소멸됩니다. 또한, 기후동행카드와 중복 환급 불가하니 카드별 용도 구분해 사용하세요.
케이패스 카드 이용방법(조건과 환급률)
1. 이용방법 및 조건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자동 환급
- 일 2회 인정, 최대 월 60회까지 환급 대상
- 전국 대부분 대중교통(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버스, GTX, 신분당선 등) 이용 가능
2. 적립 교통수단
- 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버스, 마을버스
- 신분당선, GTX 등 광역 철도 포함
3. 환급률
대상 | 환급률 |
---|---|
일반인 | 20% |
청년 (19~34세) | 30% |
다자녀 2자녀 | 30% |
다자녀 3자녀 이상 | 50% |
기초수급자 및 저소득층 | 최대 53% |
케이패스 지역별 추가혜택
- 경상남도 : 교통비 환급 및 특별 추가 적립 혜택
- 충남 : 지역 내 버스·지하철 연계 할인 혜택
- 세종 이응패스 : 대중교통 포인트 적립 및 문화 할인 제공
- 광주 G패스 : 광주 대중교통 추가 환급과 지역 상품권 적립
- 부산 동백패스 : 부산 대중교통 특별 할인 연계
- 경기도 : 월 최대 환급금 상향과 청년 특별 할인
- 인천광역시 : 교통비 환급 및 문화 이벤트 혜택
케이패스 vs 기후동행카드 비교
항목 | 케이패스 | 기후동행카드 |
---|---|---|
환급 형태 | 이용횟수 기반 일정 비율 환급 | 월정액 무제한 이용권 |
이용 조건 | 월 15회 이상 시 환급 대상 | 월정액 구매 후 무제한 이용 |
환급률 |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최고 53% | 고정 요금, 청년 할인 가능 |
대상 교통수단 | 지하철, 시내·광역버스, GTX 등 광역철도 포함 | 서울 지하철, 버스, 따릉이 |
지역별 혜택 | 지자체별 환급/적립 혜택 다양 | 서울시 중심 추가 할인 및 혜택 |
중복사용 가능 여부 | 기후동행카드와 중복 환급 불가 | 케이패스와 중복 환급 불가 |
환급 예시
월 22만 원 이용 시, 20만 원 전액 + (2만 원의 50%) = 21만 원 환급 대상에 대해
청년(30%) 환급 시 약 6만 3천 원, 저소득층(53%) 환급 시 약 11만 1천 원 환급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