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관세, 다가올 후 폭풍 [물가 폭탄]

by 티스티스tory 2025. 7. 26.
반응형

트럼프 관세
트럼프 관세

트럼프 관세, 정말 물가엔 영향 없을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산 보호와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강도 높은 관세 정책을 추진했으며, 실제로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등 다양한 업종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높은 관세도 물가엔 영향이 없다”라고 주장하지만, 2025년 6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7%였고, 신차 가격 상승률은 0.2%에 그쳤다는 점을 근거로 드는 모습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자동차 업계는 관세의 영향을 소비자가 직면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가격을 동결했을 뿐, 이미 중고차 가격이 6.3% 상승하는 등 시장에서는 관세 부담을 빠르게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일부 업체는 사전에 재고를 확보해 신차 가격 인상을 늦췄으나, 이 역시 한시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트럼프 관세트럼프 관세트럼프 관세
트럼프 관세

자동차 산업의 직격탄 – 신차, 중고차, 그리고 빅3의 위기

관세 정책의 본격적인 타격은 미국 자동차 빅 3(스텔란티스, GM, 포드) 실적에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브랜드/구분 관세 부담액(2025년) 2025 상반기 실적 비고
스텔란티스 약 5,200억 원(직접손실) 23억 유로 적자 전환 전년 동기 56억 유로 흑자에서 급추락
GM 7조 원(예상) 2분기 순이익 29→19억 달러(감소) 하반기 더 큰 타격 전망
포드 3조 5천억 원(예상) 관세 부담 증가 전체 빅3 관세 부담 총 13조 원 예상

자동차 업체들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 단기적으로 가격 인상을 미루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관세 비용의 약 80%가 소비자가격에 전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결국 소비자가 내는 '관세 청구서'

자동차 회사들이 관세 인상분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 차량 가격 인상은 불가피합니다. 워싱턴포스트 포함 주요 해외 언론은 “기업이 당장 이익보전을 우선하고, 가격 인상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라고 진단했습니다. 실제로 2025년 2분기에는 ‘관세 사재기’로 신차 판매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했지만, 연말로 갈수록 판매가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은 자동차뿐 아니라 부품·중고차 시장에도 미치고 있습니다. 관세 부담이 누적될수록 중고차 가격이 품귀 현상과 함께 강하게 올랐으며, 시장 전체적으로 소비자 부담이 누적되는 구조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트럼프 관세
트럼프 관세

건설·자재부터 주택가까지 퍼지는 파급

관세 부과는 자동차에만 한정되지 않습니다. 석유·철강·구리 등 다양한 소재 비용도 크게 올라, 석유 채굴 기업(할리버튼)은 강철 관세만으로 2,700만 달러 손실을 봤으며, 철강 50%·목재 17%·구리 등 전방위적 자재 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신축 주택 건축비 역시 인건비 상승에 더해, 집값까지 결과적으로 끌어올리는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항목 관세율(2025년) 시장 영향
철강 50% 오일기업·건설사 원가 폭등
목재 관세 인상 예고 후 17%↑ 건설사 사재기 후 주택가격 인상 압력
구리/알루미늄 50%/직접적 관세 배선, 자재 모든 비용 상승
노동력(인건비) - 이민자 감소→ 인건비 6~7%↑

특히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집값이 차지하는 비중이 26%에 달하기 때문에, 이 같은 건축비·자재비·인건비 상승은 향후 전체 물가 상승으로 곧장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트럼프 관세
트럼프 관세

주요 수치·자료로 다시보는 관세 부메랑
  • 2025년 미국 자동차 3사의 관세 부담액 약 13조 원(2024년 순이익의 절반 이상 규모)
  • GM 2분기 순이익, 29억→19억 달러로 1조 5천억 원 가까이 급감
  • 스텔란티스, 상반기 56억 유로 흑자→23억 유로 적자 전환
  • 중고차 가격 6.3% 급등(관세 반영분)
  • 미국 내 건축업 인건비 7% 이상↑, 자재별 최대 50% 관세 지속 중

 

 

 

최신 기사로 읽는 현장 분위기
  • 2025년 상반기, 미국 무역적자 사상 최대치 기록. 관세 시행 전, 기업들이 재고 확보를 서두르면서 전체 수입이 급증해 적자폭이 크게 확대됨.
  • 실적에 앞서 미국 내 소비재·수입품 전반에서 관세 리스크가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분위기. 산업 전반에 불확실성 확산.
  • “트럼프 관세 정책, 가격 억제 효과는 일시적일 뿐, 하반기 이후 순차적으로 소비자 가격에 전가될 것”이란 현지 분석 다수.

요약하면, 트럼프 관세는 단기적으로 신차·소비재 가격에 흔적이 약할 수 있지만, 자동차 산업 수익성 하락과 건설·자재·중고차 등 연관 시장 파장, 궁극적으로는 소비자 가격 상승과 미국 경제 전반의 부담 가중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