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차 민생지원금 신청일과 변경 사항이 다가오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청 기간, 지급 금액, 건강보험료 기준, 재산·금융 기준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차 민생지원금 신청기간과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월) ~ 10월 31일(금)
- 요일제 없이 원하는 날 언제든 신청 가능
- 오프라인: 주민센터, 은행 창구
- 온라인: 카드사 앱, 지역화폐 앱, 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 거동이 불편한 경우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 제공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 지급되지 않으니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지급 금액과 지역별 차등
- 일반 가구: 1인당 10만 원
- 차상위 계층, 한부모: 10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10만 원
- 비수도권 지역 주민: 추가 3만 원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84개 시·군): 추가 5만 원
즉,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거주자는 최대 15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과 건강보험료 기준
이번 2차 민생지원금은 소득 하위 90% 국민이 대상입니다. 구체적으로는 건강보험료 납부액과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합니다.
가구별 월 소득 기준 (세전 기준)
- 1인 가구: 502만 원 초과 시 제외
- 2인 가구: 825만 원 초과 시 제외
- 3인 가구: 1,055만 원 초과 시 제외
- 4인 가구: 1,280만 원 초과 시 제외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월 29만 원 이상 납부 시 제외
- 지역가입자: 월 36만 원 이상 납부 시 제외
특례 적용
- 1인 가구: 건보료 17만 원 이하(연소득 약 5,800만 원 수준) 시 별도 기준 적용
- 맞벌이 가구: 실제 가구원 수보다 1명 더 많은 것으로 계산하여 기준 완화
재산 및 금융 소득 기준
소득 기준 충족 외에도 다음 사항에 해당되면 제외됩니다.
- 주택 과세표준 12억 원 초과 (시가 약 16억~18억 원 수준)
- 연간 금융 소득(이자·배당) 2,000만 원 초과
사용처와 사용 기한
- 사용처: 기존 소상공인 매장 → 농협 하나로마트, 로컬푸드 직매장, 생협 매장 등으로 확대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 기간 내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 (환불·이월 불가)
지자체 추가 지원금도 확인하세요
중앙정부 지원 외에 일부 지자체에서는 별도 지원을 제공합니다.
- 충북 제천시: 1인당 10만 원
- 음성군, 증평군: 10만 원 (지역 화폐)
- 고창군: 20만 원
- 전남 일부 군(보성, 해남 등): 10만 원 ~ 50만 원
- 영광군: 추석 전 100만 원
- 경기 파주시, 광명시: 각 10만 원
- 강원 철원군: 30만 원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지원금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체크리스트: 나는 받을 수 있을까?
- 소득 기준 충족 (가구 기준 중 상위 10% 아님)
- 건강보험료 기준 충족 (직장 29만 원·지역 36만 원 미만)
- 재산 기준 충족 (주택 과세표준 12억 원 이하)
- 금융 소득 기준 충족 (연간 2천만 원 미만)
위 네 가지를 모두 충족하면 지급 대상이며, 기한 내 신청만 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 신청 기간: 9월 22일 ~ 10월 31일
- 건보료 및 소득, 재산·금융 기준 확인 필수
- 사용 기한: 11월 30일까지
- 신청하지 않으면 지급 불가
이번 2차 민생지원금은 건보료, 금액, 기준이 핵심입니다. 소득 상위 10%는 제외되지만, 기준을 충족하면 모든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니 놓치지 말고 확인 후 신청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