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사례로 보는 희망의 채무조정(누구나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습니다)경상북도에 거주하는 54세 이 씨는 몇 해 전 창업에 실패하고, 부모님의 치료비까지 부담하면서 빚이 2,500만 원까지 늘어났습니다. 경기 침체로 소득은 줄었고, 카드 값과 대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되셨습니다. 급기야 통장 압류까지 당하면서 현금만으로 생활을 이어가야 했습니다.절망적이었던 상황에서, 주민센터 복지사의 안내로 정부 '희망채무 조정' 제도를 알게 되었습니다. 상담 결과, 전체 채무 중 2,250만 원이 감면(90%)되었고, 나머지 250만 원은 5년간 월 4만 원씩만 상환하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복지 담당자의 도움으로 기초수급(차상위) 자격 역시 계속 유지할 수 있었던 점이었습니다.물론, 상..
2025년,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및 금융취약 계층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이 더욱 확대됩니다. 생활안정부터 긴급자금, 신용회복까지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정리했습니다.1. 저소득 금융취약층이란?저소득 금융취약층은 소득이 낮거나, 신용등급이 낮아 금융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사람들을 뜻합니다.만 19세 이상 성인 중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신용점수 하위자 등이 대표적입니다.2. 주요 정부 지원 프로그램① 햇살론(햇살론 유스/햇살론 15)대상: 연 소득 4,500만 원 이하 또는 신용등급 하위 20% 이하지원내용: 저금리(최저 연 4~9%)로 최대 1,500만 원 대출, 보증료 지원신청 방법: 서민금융진흥원(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 또는 앱 이용② 금융바우처 지원사업대상: 금융취약 계층(기초생활수..